본문 바로가기

우리 아이 이럴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아기 트림 시키는 방법

반응형

아기 트림 시키는 방법

 

안녕하세요 키즉키즉맘입니다.

우리 아이가 배앓이를 하거나 수유한 것을 토해낸 적이 있으신가요?

주변에서 많이 알려줬는데, 혹시 맞나 궁금해서 다시 검색하시는 분들도 많으실 겁니다.

 

신생아 트름에 대해서 많이들 모르고 넘어가는 부분도 많고, 왜 해줘야 하는지, 그리고 내가 할 때는 잘 안 되는 이유가 뭔지 하나하나 알려드리겠습니다.

 

내가 아는 만큼 우리 아이가 아프지 않고 건강하게 클 수 있는 법입니다.

 

그럼 우리 아이 트름에 대한 블로그를 작성해 보도록 할게요.

 


Q. 우리 아이 왜 트림을 시켜 줘야 할까?

아기 트림 시켜야 하는 이유를 알려드릴게요.

 

먼저 트림을 시켜줘야 하는 이유는 모유나 분유를 먹으면서 함께 들어간 공기를 배출해 주기 위함입니다. 위에 들어가 있는 가스가 배출되지 않으면 배가 팽창하고 불편해지면서 먹는 양이 제한되어 영양 섭취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트림을 통해 공기를 제거하면 아기가 식사를 더 효과적으로 소화하고 영양을 흡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위에서부터 음식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위와 식도 사이 근육의 발달이 완전하게 발달하지 못했습니다. 그렇기때문에 스스로 트림을 할 수 없어 주변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우유의 경우 우리가 흔히 먹는 음식에 비해 액체 성분이기에 쉽게 역류하는 현상이 일어납니다. 그리고 이 시기의 아기는 서 있기보다 누워있는 시간이 대부분이기에 더 쉽게 토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트림은 아기의 건강과 편안함을 해줘야 하는 중요한 조치 중 하나입니다.

소화만 못 시킬 뿐만 아니라, 심각한 경우 토를 하다 기도가 막히는 상황까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흔히 잘못 알고 있는 사실이 있는데요. 모유를 먹이면 안 시켜도 된다.라는 말은 사실이 아닙니다. 이 경우에도 트림을 시켜줘야 합니다.

 


 

Q. 트림을 잘 시키는 방법

아기 트림 시키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1. 시간 여유를 갖는다.

우리 초보맘들의 흔한 실수는 수유 후 트림을 시키기 위해 계속 애쓰는 거예요. 천천히 시간 여유를 갖고 해 주세요. 수유 후 잠시 안거나 3분 정도 눕혔다 들어 올려 등을 부드럽게 두드리면 됩니다.

 

2. 상체 세우기

많이들 아시겠지만, 물은 아래에 있고 공기는 위에 있습니다. 그 이유는 공기가 더 가볍기 때문이죠.

우리 아이의 상체를 세워 몸속의 우유와 공기를 분리시켜줘야 합니다. 토를 하는 원인 중 하나가 우유와 공기를 같이 내보내기 때문인데요. 이처럼 상체를 세워 트림시키는 것. 기본자세입니다.

 

3. 몸을 세워 안고 등 쓸어 올리기

먼저 아이의 머리는 겨드랑이 위쪽에 대고 엉덩이를 한 손으로 안정감 있게 감쌉니다. 그리고 다른 손은 등을 두드린다는 느낌보다 약간 힘을 실어 등을 아래에서 위쪽으로 여러 번 쓸어 올리는 방법입니다.

 

앉아서 아이의 다리를 걸쳐 안정감 있게 안고 쓸어 올려줘도 됩니다. 대신 몸과 목을 잘 지탱해 주셔야 해요. 아직 얼굴을 가누거나 지탱하기 힘든 시기입니다.

 

제가 많은 아이와 부모를 봐왔는데요. 흔히 하는 실수가 있습니다. 바로 등을 위에서 아래로 쓸어내리는 동작인데요.

이는 수유가 아닌 식사를 하고 난 후 소화를 위해 쓸어내리는 동작입니다. 우리가 하는 동작은 아이의 위 속에 공기를 빼내는 동작이에요.

 

4. 특정 부위 눌러주기

등을 쓸어 올려주거나 토닥여서 트림을 시켜줘도 됩니다. 그래도 잘 못 한다면 특정 부위를 자극해 트림을 시켜줄 수 있습니다. 등의 중간 부분을 기준으로 왼쪽에 약간 푹 들어간 부분이 있는데요. 여기가 식도와 관련된 부위입니다. 손가락 마디에 힘을 실어 부드럽게 눌러주듯 자극하면 트림을 합니다.

 


 

Q. 트림은 언제 해주는지?

 

1. 수유를 할 때마다 하는 것은 아닙니다.

신생아는 수유를 하다가 잠들기도 하는데 이럴 때마다 아이를 깨우고 트림을 시킬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잠결에 토할 경우 기도를 막기도 하는데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얼굴을 옆으로 돌리고 머리에 베개를 받쳐 상체를 더 높게 둔다면 기도를 막는 일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2. 모유 수유와 분유 수유

많은 초보맘들이 잘못 알고 계시는 게 있는데요. 모유 수유를 하면 공기를 마시지 않아 안 해도 된다.라고 알고 계시는 부모님이 많이 계시더라고요. 하지만 아닙니다. 젖병보다 덜 할 뿐 젖을 많이 먹게 되면 공기는 자연스레 먹게 됩니다. 초보맘들이 젖을 잘못 물리거나 하는 경우 특히 더 그래요.

 

먼저 모유를 먹일 때는 한쪽 가슴을 다 먹인 후 트림을 한 번 시키고 다른 쪽 가슴을 먹게 합니다.

이때 만약 3분 정도 하지 않는다면 공기를 먹지 않은 것입니다. 바로 다른 쪽 젖을 먹게 해도 됩니다.

 

분유나 젖병을 이용해 식사를 한다면 공기를 먹는 양이 더 많아집니다. 그렇기에 더 신경 써주셔야 해요.

 

젖병 수유 시 60~90ml 정도 섭취할 때마다 트림을 시켜주세요

 

3. 아이가 평소보다 적게 먹거나 다를 때

평소 우리 아이가 먹던 양보다 적게 먹거나 충분한 양의 우유를 먹지 않는다면 트림을 시켜줘야 합니다. 더 이상 먹지 않으려고 하고 고개를 돌리고 짜증을 내는 등의 평소와 다르다면 트림을 시켜주세요. 그리고 밥을 먹고 잠든 지 얼마 되지 않아 일어나서 울거나 보채면 트림을 시켜주세요.

 


 

Q. 공기가 들어가지 않게 하는 방법

 

1. 모유 수유

먼저 모유는 다른 방법에 비해 공기를 적게 마십니다. 그러나 초보 맘들은 모유 수유 경험이 적어 불편한 자세로 수유하는데요. 젖꼭지를 깊이 물고 먹을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입이 벌려지면서 공기가 들어갑니다.

 

2. 분유 수유

아기를 약간 비스듬하게 안고 최대한 편한 자세로 아이를 지탱해 주세요.

다리 사이에 아이 엉덩이를 넣거나, 넓적다리로 아이 몸을 지탱하는 등 편한 자세를 찾아주세요.

 

아이가 편한 자세로 먹는 것도 중요하지만 느리면 30분 정도를 먹기도 합니다. 버티다 보면 자세는 무너지고 더 불편한 자세로 먹게 돼요.

 

또한, 젖꼭지 부분에 우유가 가득 차게 비스듬하게 들어주세요. 빈 공간이 생기면 공기를 마시게 됩니다.

 


 

수유 후에 트림을 시키는 것은 정말 중요한 일이지만 쉬운 일이 아닙니다.

시간이 지나도 트림을 하지 않으면 엄마는 걱정되고 조바심이 납니다. 그러면 결국 강제로 트림을 시키려고 시도하죠. 아이는 쉽게 잠들지 못하고 악순환이 반복될 것입니다.

 

어느 정도 시도하고 트림을 하지 못해도 별다른 증상이 없다면 아기를 눕혀 고개를 돌리고 상체를 더 높게 올리는 자세를 취한 후 조금 쉬게 하고 다시 시도하도록 하세요.

 

만약 트림을 시켰는데도 토를 계속한다면 수유량이 많지는 않은지 과도하게 먹거나 한꺼번에 많이 먹지는 않는지 다시 한번 확인해 보시고, 나눠서 먹이는 방법을 선택해 주세요.

 

우리는 처음입니다.

처음부터 잘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어디서든 도움은 받을 수 있습니다. 항상 옆에서 키즉맘들의 도우미가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입니다.

 

우리 아이 집중력 짧은 원인과 대처 방법

우리 아이 집중력 짧은 원인과 대처 방법 안녕하세요. 키즉키즉맘입니다. 처음 우리의 고민은 내 아이가 말을 너무 늦게 하는 건 아닌가? 다른 아이보다 성장이 늦는 것 같은데, 발달이 늦으면

kizikmom.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