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생을 때리는 아이 원인과 대처 방법
안녕하세요. 키즉키즉맘입니다.
우리 부모님들은 아이들이 친구나 형제, 자매끼리 사이좋게 지내기를 바라는데요. 사실 이게 쉽지는 않습니다. 아이들도 성격이 다르고 원하는 것도 달라서 같은 장난감을 사주기도 힘들고, 많이들 티격태격 싸우는 모습을 볼 수 있을 거예요.
그런데, 아이가 동생을 때리는 모습을 봤을 때 한 번에 훈육이 된다면 좋겠지만 언제 또 손이 올라갈까 걱정이 됩니다.
이러다가 계속 폭력을 쓰면 어떡하지? 다른 친구들에게도 폭력을 쓰면 어떡하지? 미움받지는 않을까? 등 여러 고민을 하게 됩니다.
동생이 태어났을 때는 꼭 자기가 돌봐주고 자신의 장난감이나 간식도 다 나눠주겠다고 하던 우리 아이가 어느 순간부터 장난감을 뺏고 질투하기 시작하며 가끔 폭력을 쓸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럼 오늘의 블로그, 동생을 때리는 아이 어떻게 해야 할까? 에 관한 글을 작성해 보겠습니다.
글을 읽기 쉽게 형, 누나를 첫째라고 쓰겠습니다.
Q. 동생을 때리는 이유는 무엇이고 어떤 감정과 어떤 행동을 보일까요?
1. 심리적 불안
평소보다 첫째가 자신에 대한 사랑이 부족하다고 느낄 때나 자신의 물건, 자신의 음식을 동생에게 양보해야 하고 부모가 동생에게 넘겨줄 때 아이는 심리적인 불안을 느끼게 됩니다.
어떤 친구들은 양보를 하기도 하지만, 어떤 친구들은 자신의 모든 물건과 사랑을 뺏길까 불안해하기도 합니다.
심리적으로 불안함이 커질수록 아이는 부모와 동생에게 배신감과 소외감을 느끼면서 점차 말이 없어지고 동생을 괴롭히거나 폭력을 쓰기도 합니다.
2. 불만
많은 부모는 동생에게 양보하고 배려하라고 말합니다. 이때 첫째는 억울한 상황에도 동생보다 더 많이 혼나거나, 자신의 차례에도 양보를 해야 하는 등 불만을 갖게 되는 상황이 생깁니다.
부모는 바쁘거나 복잡한 상황에서 어떤 일인지, 어떤 상황인지 확인을 하려고 하기보다 이 상황을 빨리 해결하려고 하기 바쁩니다. 그러다 보면 첫째는 억울해하고 부모를 미워하기보다 동생 때문에 혼났다고 생각하며 동생을 미워하게 됩니다.
동생을 때리고 괴롭히는 이유는 불만이 있거나 불안한 마음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부모는 한쪽으로만 바라보지 않고 상황을 유심히 관찰하며, 어떤 성격과 어떤 얘기를 하는지 그리고 거짓말은 하지 않았는지 자주 대화하고 상황을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Q. 대처 방법
대부분의 아이들은 동생이 생기기 전 자기중심적 사고를 갖고 있습니다. 그런데 동생이 생기고 나서 많은 것을 양보하고 배려해야 하는 것에 대해 자신의 것을 뺏기고 경쟁 상대로 인식하게 됩니다. 이때 동생을 경쟁상대로 느끼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첫째를 먼저 챙깁니다.
첫째에게 모든 것을 양보하고 배려하라고 강요하지 않고 먼저 챙겨줍니다.
동생이 있기 전 사랑해 준 그대로 애정을 줍니다. 동생이 생겨서 사랑을 못 받는다는 느낌을 받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첫째를 사랑해 줄수록 그 사랑을 다시 동생에게 돌려주게 됩니다. 그리고 동생이 생김으로써, 동생을 챙겨주면 더 많은 사랑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느끼게 해 줍니다.
예를 들면 동생에게 간식을 양보했을 때 칭찬과 또 다른 보상을 줌으로써 동생에게 더 많은 사랑을 주게 만들어줍니다.
2. 스킨십
동생이 신생아처럼 많이 어릴수록 안고 있는 시간이 길어집니다. 첫째는 동생을 안고 있는 부모의 모습을 계속 보게 되는데 이럴수록 질투를 느끼지 않도록 첫째에게 더 많은 스킨십을 표현해 주고, 이 시기에 엄마와 아빠 모두 육아에 신경을 써주셔야 합니다.
3. 시간 보내기
동생이 생기면서 첫째는 많은 것을 양보하게 됩니다. 그중에 시간도 포함이 되는데요. 이때 부모는 첫째가 배신감이나 소외감을 느끼지 않도록 특정한 시간을 정해 시간을 보내도록 합니다.
이때 시간 보내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첫째만을 위한 시간을 주는 것입니다. 첫째와 단둘이 시간을 보내거나 오롯이 첫째에게만 관심을 주는 시간이죠.
두 번째는 첫째와 함께 육아 시간을 갖는 것입니다. 첫째와 함께 간단한 육아를 함께 하는 건데, 예를 들면 기저귀를 가져와 달라거나 분유병을 잡고 있어 달라는 등 동생과의 시간을 함께 갖고 애착을 형성하는 것입니다.
4. 칭찬하기
첫째의 행동에 칭찬을 아끼지 않습니다. 아이가 불안하거나 소외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며, 동생에게 하는 행동에 칭찬을 해줄수록 더 많은 것을 동생에게 양보하고 배려하는 모습을 보게 될 것입니다.
오늘은 동생을 때리는 아이에 관한 글을 작성해 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었을까요?
때리는 아이의 행동은 여러 이유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 행동에만 강조하여 아이의 잘못을 얘기하기보다 어떤 상황과 어떤 감정인지에 대해 깊은 대화와 고민을 하며 이해하려고 노력해 주세요.
아이의 그 행동은 분명 잘못된 행동임은 분명합니다. 그러나 아이가 이 행동을 하기까지 어떤 어려움과 감정들에 힘들어했을지 공감해 주고 이해해 주면서 아이와 감정을 공유해 주세요.
아이가 질투하지 않고 배신감이나 소외감을 느끼지 않도록 항상 사랑으로 보듬어 주세요.
감사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입니다.
우리 아이가 우울할 때 어떻게 해야 할까요?
우리 아이가 우울할 때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키즉키즉맘입니다. 오늘은 우리 아이가 우울해할 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관한 글을 작성하려고 합니다. 아이의 우울한 기분은 연령에
kizikmom.tistory.com
'우리 아이 이럴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아이가 우울할 때 어떻게 해야 할까요? (0) | 2023.11.17 |
---|---|
체력이 약한 아이 원인과 대처 방법 (0) | 2023.11.16 |
집착하는 아이의 원인과 대처 (0) | 2023.11.13 |
코가 막히는 원인과 예방 (코 쉽게 풀기) (0) | 2023.11.12 |
소아 탈모 (아이의 머리카락이 빠져요) (0) | 2023.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