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착하는 아이의 원인과 대처
안녕하세요. 키즉키즉맘입니다.
오늘은 집착하는 아이에 대해 글을 작성해 보려고 합니다.
우리 아이가 어떤 물건에 집착해 당황스러운 경험이 있지는 않으신가요? 유치원에 보내려고 하는데 어떤 물건을 가지고 나가지 않으면 밖에 안 나가려고 한 적은 없으신가요? 이렇게 유독 집착하는 성향을 드러내면 난감한 상황에 처하게 됩니다.
정말 작은 물건이면 손에 쥐여주고 보낼 수 있겠지만 이불이나 잠옷 등 들고 다니기 힘든 물건을 집착하면 당황스럽습니다. 우리 아이가 집착하는 이유는 무엇이고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미리 알고 있다면 부모와 아이 사이에 유대감은 잘 형성되고 트러블은 적어질 것입니다.
그럼 오늘의 블로그, 집착하는 아이 원인은 무엇이고 대처는 어떻게 해야 할지에 관해 작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Q. 우리 아이가 집착하는 이유
아이가 어떤 것에 집착하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아이의 성격, 개인 경험, 감정 또는 심리적 요인 등 여러 가지 복합적인 원인에 기인할 수 있습니다. 아이가 특정한 물건에 집착하는 이유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안정감
오래전부터 함께해 온 인형, 이불, 잠옷 등의 물건은 아이에게 안정감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물건을 집착하는 것은 불안한 상황에서 편안함을 찾으려는 본능적인 욕구에 가깝습니다. 예를 들면 처음 가는 유치원에 가야 할 때 불안한 감정을 없애기 위해 자신의 애착 물건을 가지고 가려고 하는 것이죠.
2. 자아 정체성 형성
어린아이는 2~3세 정도에 자신의 정체성을 (자아 형성의 시작) 찾아가게 됩니다. 이 시기의 친구들은 부모와 자신을 분리하고 독립이라는 개념을 갖게 됩니다. 이는 부모만을 바라보고 부모에게 의존하기만 하던 아이가 자아 발달을 이루며 사회성이 발달하고 스스로 무언가를 하려고 하면서 애착 물건에 집착하는 것입니다.
양육자와 자신을 분리하고 그 대신 심리적 안정을 주는 물건에 집착하는 자아 정체성 형성의 과정 중 하나입니다.
3. 환경적 영향
가족이나 주변에서 특정한 것에 대해 긍정적인 가치를 부여하거나 강조할 경우, 그것에 대해 집착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아이가 울거나 무섭고 불안해할 때 인형 또는 어떤 물건을 아이에게 쥐여줌으로써 그 물건에 집착할 수 있습니다.
4. 부모의 양육 태도
부모의 말과 행동에 많은 영향을 받는 아이들은 부모의 양육 태도에 따라 정서 발달을 다르게 이루기도 합니다. 만약 부모가 어떤 특별한 물건을 아이에게서 뺏거나 또는 흥미를 보이고 집착하는 행동을 보였을 경우 아이도 그 물건에 집착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예를 들면 아이들이 핸드폰에 유독 관심을 갖는 이유가 자극적인 요소도 있지만 부모가 핸드폰을 자주 만지면서 아이도 그 물건에 집착하기도 하는 것입니다.
Q. 집착하는 아이에 대한 대처
집착하는 아이에 대한 대처 방법은 각각의 상황과 아이의 성격에 따라 다릅니다.
1. 이해와 공감
아이의 집착에 대해 이해하고, 그에 대해 공감을 표현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존중함으로써 아이는 안정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무조건 그 물건을 뺏거나 혼을 내면서 제재하는 것은 더 집착하게 만들거나 악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아이에게 그 이유를 물어보고, 그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의 마음을 열게 하고, 대화를 통해 해결책을 찾을 수 있습니다. 아이는 그 물건을 아주 소중하게 여기며 그 물건에 대해 부모는 이해와 공감을 해줄 필요가 있습니다.
2. 대안 제시와 선택권 부여
집착하는 물건이나 행동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 아이가 선택할 수 있도록 유도합니다. 선택의 권한을 주면 아이는 더 적극적으로 협력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아이에게 집착하는 물건과 다른 선택권을 부여함으로써 애착 물건과 조금씩 멀어지는 연습을 합니다. 다른 놀이로 대체하거나 대안 제시를 통해 방지하며 이를 강요하지 않고 아이에게 선택권을 부여해 조금씩 애착 물건에 집착하지 않게 도와줍니다.
3. 일정과 규칙
아이들은 예측 가능하고 일정이 있는 환경에서 안정감을 느낍니다. 따라서 규칙적인 일정을 유지하고, 일관된 규칙을 제공함으로써 집착을 줄일 수 있습니다. 아이는 갑작스러운 환경 변화에 애착 물건에 더 집착하게 됩니다. 아이에게 다음 일정을 미리 말해주면서 불안해하지 않도록 도와줍니다.
4. 감정 공유와 애착 형성
다양한 자아 표현 수단을 제공하여 감정을 표현하고 소통할 수 있는 방법을 찾도록 돕습니다. 미술, 놀이, 문학 등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아이와의 스킨십, 사랑을 표현함으로써 아이가 애착 형성 과정에서의 불안, 부족함을 느끼지 않도록 도와줍니다.
부모의 사랑과 관심을 충분히 받음으로써 자신은 안전하고 편안하다는 것을 느끼게 해 주고 집착 성향을 줄일 수 있습니다.
집착이 지속되거나 아이의 일상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많이 미친다면 전문가의 상담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정서적인 지원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상담사와의 진단과 상담은 많은 도움이 됩니다.
무엇보다 많은 시간과 노력을 가지고 아이의 행동을 지속적으로 주시하고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오늘은 집착하는 아이에 관한 글을 작성해 보았습니다.
집착은 일반적으로 4세가 지나면서 차츰 줄어들고, 6세 이전에 대부분 사라지지만, 제 주변에 간혹 중학생, 고등학생 까지도 자신의 베개, 이불에 집착(애착)을 보이는 친구들도 있었습니다. 이 친구들이 이런 것에 집착한다고 사회생활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었으며 자연스럽게 둬도 큰 문제가 없는 경우가 정말 많습니다. 집착(애착)에 대해 좀 더 깊은 고민을 해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나이가 들면서도 집착을 보이는 것은 마음속에 아주 작은 틈이 있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이 틈이 사랑인지 무엇일지 한 번 되돌아보는 것은 어떨까요?
감사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입니다.
코가 막히는 원인과 예방 (코 쉽게 풀기)
코가 막히는 원인과 예방 (코 쉽게 풀기) 안녕하세요. 키즉키즉맘입니다. 오늘같이 갑자기 추워지는 날에는 감기에도 심하게 걸리지만 코가 막히는 일이 자주 발생합니다. 그래서 어떻게 하면
kizikmom.tistory.com
'우리 아이 이럴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아이가 우울할 때 어떻게 해야 할까요? (0) | 2023.11.17 |
---|---|
체력이 약한 아이 원인과 대처 방법 (0) | 2023.11.16 |
코가 막히는 원인과 예방 (코 쉽게 풀기) (0) | 2023.11.12 |
소아 탈모 (아이의 머리카락이 빠져요) (0) | 2023.11.10 |
자기 머리카락을 수시로 뜯는 아이 원인과 대처 (0) | 2023.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