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건을 던지는 아이, 원인과 대처 방법
안녕하세요. 키즉키즉맘입니다.
오늘은 마트에서 장을 봤는데 한 아이의 행동을 보고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엄마가 원하는 물건을 골라주지 않은 것 같아 보이는데, 떼를 쓰며 물건을 던지는 모습을 봤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런 상황이 발생하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에 글을 작성해 보려고 합니다.
아이가 물건을 던지는 행동을 보일 때 이유는 무엇인지,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그리고 이런 행동을 하지 않게 하려면 어떻게 키워야 할지 작성해 보겠습니다.
그럼 오늘의 블로그, 물건을 던지는 이유는 뭐고, 어떻게 해야 할까?라는 주제로 글을 작성해 보겠습니다.
Q. 물건을 던지는 아이 왜 그런 건가요?
우리는 우선 아이가 물건을 던지는 행동의 이유를 알아야 합니다.
1. 감정 표현
아이들은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물건을 던질 수 있습니다. 화가 나거나 불안하거나 흥분한 상황에서 감정을 억누르기 어려울 때 물건을 던지게 됩니다. 그리고 스트레스를 표출하거나 긴장을 하게 되면 물건을 던질 수 있습니다. 이것은 불안 또는 스트레스 상황에 자신의 감정을 표출하는 방법이죠.
2. 놀이
아이들은 단순히 이를 던지기 놀이로 인식하기도 합니다. 물건을 던지는 친구들이 모두 공격적이거나 화가 나서 또는 불만이 많아서 이런 행동을 보이는 것은 아닙니다.
물건이 던져질 때 움직이는 모습이나 그 소리에 반응해서 재밌다고 느끼는 경우도 많습니다.
3. 주변 환경
- 만약 부모기 화가 났을 때 물건을 집어던지는 행동을 보이거나 이런 비슷한 문제의 행동을 보였을 때 아이가 물건을 던지는 행동을 보입니다.
- 아이가 어떤 잘못된 행동을 보였을 때, 그 순간 바로 대응하는 부모의 행동에 영향을 받기도 합니다. 아이는 자기 잘못을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부모의 감정적이고 격한 대응으로 문제의 행동을 보이기도 합니다. 소심한 아이는 더 소심해지고, 감정을 표출하는 아이는 물건을 던지거나 때리기도 합니다.
4. 미디어 노출
요즘은 연령이 낮아도 미디어에 쉽게 노출이 됩니다. 부모가 보여주려고 하지 않아도 쉽게 자극적인 요소에 접하게 됩니다. 부모가 보는 TV나 핸드폰에서 의도치 않게 폭력적이나 과격한 언어가 포함된 장면을 보게 될 수 있습니다.
5. 친구들의 행동
아이는 집에서뿐만 아니라 주변의 모든 사람을 따라 합니다. 그중 친구들도 포함입니다. 우리 집에서 조심했어도 친구들이 주변에서 배운 언어와 행동을 보이면 우리 아이가 따라 하기도 합니다.
6. 관심
아이가 물건을 집어던질 때마다 주변의 성인들은 격하게 반응합니다. 이때 물건을 던지면 주변 사람들이 관심을 가져 주는구나 하고 착각하며 이런 잘못된 행동을 반복하게 됩니다.
아이가 물건을 던지는 행동을 보였을 때, 부모는 아이가 놀이로 인식을 한 것인지 또는 감정 표현의 방식인지를 정확하게 인지하고 계셔야 합니다.
Q. 물건을 던지는 아이 대처 방법
아이가 물건을 던지는 행동 등 잘못된 행동을 보였을 때의 감정을 이해해 보려고 노력해 보세요. 잘못된 행동이지만 무작정 그 행동에 화를 내거나 부모가 먼저 감정을 앞세우면 또 다른 안 좋은 습관을 생기게 할 수 있습니다.
먼저 감정을 공유해 보려고 노력해 보며 부적절한 행동은 단호하게 훈육하나, 이런 부정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방식에 대해 교육해 줄 필요가 있습니다.
1. 잘못된 행동 지적
나이가 어린 친구들은 아직 이 행동이 왜 잘못되었는지, 무엇이 문제인지 인지하지 못합니다. 부모는 아이와 대화를 통해 반복적으로 이 행동이 잘못된 것임을 인지 시켜줍니다.
또한, 명확한 규칙을 정해 어떤 행동이 허용되고 어떤 행동이 금지되어야 할지 선을 그어주셔야 합니다.
2. 진정하고 이해하기
아이의 감정과 관점을 이해하려 노력해 봅니다. 왜 이런 행동을 했는지를 이해하면 더 효과적인 대처가 가능합니다.
3. 칭찬과 보상
행동이 개선되었거나 긍정적으로 변화했다면 그에 맞는 칭찬과 보상을 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개선하기 어려운 순간에 아이를 재촉하고 강요하기보다 충분한 시간을 내어주세요.
4. 모델링
부모나, 선생님은 모범이 되는 행동을 보여야 합니다. 아이들은 주변 성인의 모습을 많이 따라 하기 때문에 좋은 모델이 되어야 합니다.
5. 효과적인 의사소통
감정 표현 및 의사소통 기술을 가르치고 연습시킵니다.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을 알고 있다면 갈등이 적어질 것입니다.
던져도 되는 물건과 던지면 안 되는 물건에 명확한 규정을 정해줍니다. 그리고 왜 해서는 안 되는지 설명해 주며 이를 간단한 단어와 언어로 교육해야 합니다. 물건을 던졌을 경우, 이 행동에 대한 결과를 보여줍니다. 예를 들면 부모가 여기에 맞았을 때 강하게 반응하고 이 행동은 다치고 위험하다는 반응을 보여주세요.
6. 표현 방식
무조건적인 칭찬과 아이의 행동을 받아주는 것은 잘못된 행동입니다. 아이의 기를 살려준다거나, 화를 내지 않는 것도 잘못된 표현 방식입니다. 엄하게 혼낼 땐 확실하게 하셔야 합니다.
7. 손해
물건을 집어던지면 그 물건을 뺏고 숨깁니다. 내가 장난감을 던지면, 장난감이 없어지는구나.라고 인식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함께 키즈카페에 가기로 했는데 가지 않는 등 잘못된 행동을 계속 보였을 경우 직접적인 손해가 가도록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분명 울며 떼를 쓰고 또 물건을 던지는 행동을 보일 것입니다. 이럴 때는 아이의 연령에 맞게 대처 방법이 다릅니다.
- 아직 이런 행동이 왜 잘못되었는지 모르는 아이의 경우 무관심과 반복적인 대화를 통해 대응해 줍니다.
- 이런 행동을 자주 보이는 3~4세 이상의 경우 확실하게 훈육을 시키고 무관심으로 대응해야 합니다.
오늘은 물건을 던지는 아이의 행동에 대해 작성해 보았습니다.
물건을 던지는 행동은 잘못된 행동이지만 이를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게 왜 잘못되었고, 하면 안 되는지 부모는 충분한 설득과 노력이 필요하며, 아이의 행동을 대처할 때는 차분하고 인내심을 가지고 아이의 감정적인 상태를 고려해야 합니다.
만약 부모가 더 감정적으로 대처하게 된다면 악순환이 반복될 것입니다. 일관성 있는 교육과 사랑으로 아이를 지원한다면 건강하고 긍정적인 행동을 유도할 수 있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입니다.
신생아 아기 눈 뜨는 시기와 눈초점, 시각 발달 교육
신생아 아기 눈 뜨는 시기와 눈초점, 시각 발달 교육 안녕하세요. 키즉키즉맘입니다. 오늘은 신생아 시기에 우리 부모 또는 돌봄자와 눈 맞춤을 해야 하는 중요성을 알려주고자 작성해 보려고
kizikmom.tistory.com
'우리 아이 이럴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향성 발톱의 원인과 증상, 대처 방법 (0) | 2023.10.06 |
---|---|
계속 싫다고(싫어, 안 해) 거절하는 아이 원인과 대처 방법 (1) | 2023.10.04 |
우리 아이 분리불안 원인과 대처 방법 (0) | 2023.10.01 |
아이가 잠을 안 자요. 이유와 대처 방법 (0) | 2023.09.30 |
딸꾹질하는 이유와 예방, 멈추는 방법 (1) | 2023.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