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를 잘하는 아이의 비밀과 방법
안녕하세요. 키즉키즉맘입니다
오늘의 주제는 바로 "대화"인데요. 아이를 키우다 보면 다른 친구들은 말을 잘하는 것 같고, 그런 모습을 보면 더 성숙해 보이고 똑똑해 보입니다. 우리 아이는 대화를 잘할까요?
대화를 잘하는 것은 아이 스스로가 아닌 부모의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어간 결과입니다. 대화를 잘하면 아이는 똑똑해지는데, 그 이유는 언어적 능력을 키우면서 의사 표현을 쉽게 하고, 소통을 함으로써 사회성이 발달하고, 책을 읽고 이해하는 독해력과 대화를 통한 어휘력을 습득하는 등 대화의 시작은 지적 능력과 학습 능력과 관계가 깊다는 겁니다.
그럼 오늘의 블로그, 우리 아이 어떻게 하면 말을 잘하게 할까? 대화를 잘하는 아이의 비밀에 관한 글을 작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Q. 말을 잘하는 친구는 어떤 점이 다를까요?
우리 아이가 말을 잘 못해요. 하며 걱정하시는 부모님들이 많이 있습니다. 다른 아이를 보며 궁금해하는데요. 말을 잘하는 친구들의 차이점과 어떤 특징들이 있는지 작성해 보겠습니다.
1. 시청각에 빠지지 않는다.
TV나 핸드폰으로 예시를 들 수 있습니다. 시청각에 빠지게 되면 입을 열기보다 듣게 됩니다. TV를 보지 않는다면 그 시간에 취미를 즐기거나 놀이를 하면서 누군가와 소통하며 친밀감을 높입니다. 흔히 TV를 켜고 식사를 하는데, 시청각을 보지 않고 대화를 하며 밥을 먹으면 조금씩 대화 수준이 올라가며 말을 잘하게 됩니다.
2. 자기표현을 잘한다.
말을 잘하는 친구의 차이점은 자기표현을 잘한다는 것입니다. 아이의 표현은 처음부터 잘하는 것이 아니고 부모의 노력이 필요한 일입니다. 어떤 감정과 어떤 표현을 사용해야 하는지, 그리고 어떤 단어를 넣어서 말을 해야 하는지 자기표현을 통해 대화를 이어 나갑니다.
이 과정에서 부모는 아이에게 자기표현을 할 기회를 제공해 주며, 끊임없는 질문과 대답을 요구하면서 아이의 말을 끊지 않고 경청하는 자세를 취해야 하는 것입니다.
아이가 대화하는 것에 대해 불편해하지 않고 자신의 의견을 전달하되 남의 말도 경청하는 자세를 알려주셔야 합니다.
3. 주고받는 대화
일상 대화를 하다 보면 부모는 아이에게 설득을 하고 훈육을 하게 됩니다. 이때 무작정 설득하기보다 아이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할 기회를 제공해 주고, "너의 생각과 감정은 이랬구나, 엄마의 생각과 감정은 이랬어" 등의 대화를 통해 자신의 감정과 상대방의 감정, 생각을 주고받는 대화가 필요합니다.
특히 아이가 생각을 표현할 때 머릿속에서 떠오르는 말을 두서없이 얘기할 때는 끝까지 들어주고 다시 한번 정리하여 말해 줍니다. 여기서 아이의 말을 지적하고 틀렸다고 하는 것이 아닌 아이의 말을 반복해서 말을 해주며 정확한 표현을 들을 수 있게 해 줍니다.
예를 들면
"나 양치했어! 아까. 근데, 이빨이 아팠어"라고 아이가 표현했을 때. "아~ 키즉이가 10분 전에 양치했었지? 그런데 어디 이빨이 아팠어?" 표현 방법과 단어, 그리고 구체적인 상황을 아이가 말할 수 있도록 반복해서 얘기해 줍니다.
4. 생각하는 능력
아이의 사고 능력을 키우는 것은 대화에 매우 중요합니다. 그런데, 사고력을 키우는 것을 숫자나 공간 능력 등으로만 오해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사고력이란 생각하는 힘입니다.
사고력을 키우는 방법은 생각하는 기회를 많이 제공해 주는 겁니다. 흥미를 갖는 일이나 질문을 통해 아이의 사고력을 키워준다면 대화를 잘하게 될 것입니다.
5. 일기
말을 잘하는 방법은 귀로 듣고, 입으로 말하는 것으로 끝이 아닙니다. 눈으로 보고, 손으로 쓰고, 생각을 정리한다면 대화 능력에 아주 좋은 방법이 될 것입니다.
그중 일기를 쓰는 것은 보고, 쓰고, 생각을 정리하는 것에 가장 적합한 방법인데요. 특히 오늘 있었던 일을 생각나는 대로 쓰는 것이 아닌 생각을 정리해서 작성하는 것입니다.
일기는 글로 풀어내면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적게 되는데,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면서 표현이 맞는지 스스로 읽고 쓰며 배우게 됩니다.
오늘은 대화를 잘하는 친구들은 어떤 특징이 있는지 알아보았습니다.
말을 잘하는 방법을 보고 왜 우리 아이는 말을 잘 못했을지 한 번 곰곰이 생각해 보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우리 아이와 대화를 더 많이 하고 시간을 보내줌으로써 똑똑한 아이로 키우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입니다.
동생을 때리는 아이 원인과 대처 방법
동생을 때리는 아이 원인과 대처 방법 안녕하세요. 키즉키즉맘입니다. 우리 부모님들은 아이들이 친구나 형제, 자매끼리 사이좋게 지내기를 바라는데요. 사실 이게 쉽지는 않습니다. 아이들도
kizikmom.tistory.com
'아이 궁금증 및 놀이, 추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까꿍 놀이의 깊은 의미와 발달 과정 (0) | 2023.11.09 |
---|---|
영아 시기의 아이와 이렇게 놀아주세요. (0) | 2023.11.05 |
신생아 첫 외출 적당한 시기와 방법 (0) | 2023.11.01 |
물고기는 물속에서 어떻게 숨을 쉬어요? (0) | 2023.10.23 |
무지개는 어떻게 생기고 왜 둥근 모양일까? (0) | 2023.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