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이 궁금증 및 놀이, 추억

구름은 어떻게 생기고 계속 떠있을 까요?

반응형

구름은 어떻게 생기고 계속 떠있을 까요?

 

안녕하세요. 키즉키즉맘입니다.

아이와 드라이브를 하거나 산책을 하다 보면 아이들은 주변에 관심이 정말 많습니다. 질문도 많이 하고요.

뛰어놀다 보면 멋진 구름이 보이는데요. "키즉아 저기 봐봐 구름이 공룡 같지 않아? 신기하지?" 아이는 신기한 눈으로 쳐다보면서 엄마 아빠한테 물어봅니다. "엄마 구름이 뭐야?" 이럴 때 우리 부모님은 멈칫합니다. 구름이 뭘까? 어떻게 계속 떠 있을까? 만들어지는 원리가 뭐지? 구름은 중력을 받을까?

 

또 우리 초등학생 정도의 아이들도 수증기와 액체 등을 공부하다 보면 구름에 대해서 공부할 텐데요. 많이 어려워하는 친구들도 있을 거예요.

그래서 우리 친구들과 우리 부모님들을 위해 간단하고 재미있게 궁금증을 해결해 주기 위해 작성해 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럼 오늘의 블로그, 구름은 뭘까? 어떻게 생기고 떠 있는 거지? 에 대한 글을 작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Q. 구름이 뭐예요? 어떻게 생길까요?

우리가 비행기를 타거나 높은 산을 올라갔을 때, 또는 길을 걷다 보면 구름을 봅니다. 그럼 아주 먹음직스러운 솜사탕 같은 것이 둥둥 떠다니는데요. 이 구름은 뭘까요?

 

구름은 아주 작은 물방울과 얼음 결정이 모여 형성된 것입니다. 지구 표면에 있던 물은 증발(기화)을 통해 수증기가 되었다가 하늘로 올라가 구름이 됩니다. 그리고 비나 눈 등으로 지구 표면(땅과 바다)으로 떨어지고 또다시 증발하고를 반복합니다.

 

증발(기화)에 대한 글은 하단 블로그를 통해 확인해 보세요.

 

 

물을 끓일 때 생기는 거품과 기포는 무엇이고 왜 생길까?

물을 끓일 때 생기는 거품과 기포는 무엇이고 왜 생길까? 안녕하세요. 키즉키즉맘입니다. 오늘은 물에 기포(거품)가 생기는 이유에 대한 글을 작성해 보려고 합니다. 학생분들도 많이 궁금해하

kizikmom.tistory.com

 


 

- 구름은 어떻게 생기는 건가요?

구름은 아주 작은 물방울과 얼음 결정들로 이루어져 있다고 작성했는데요. 먼저 김과 수증기의 차이를 알고 있을까요?

전에 수증기가 액화되어 김이 되는 것을 설명하였는데요. 하단 링크에 아주 간단하게 작성해 놓았습니다.

 

수증기와 김의 차이는 아래 글을 참고하시면 이해가 되실 겁니다.

 

 

물이 끓으면 수증기가 되는 이유 (수증기와 김의 차이)

물이 끓으면 수증기가 되는 이유 (수증기와 김의 차이) 안녕하세요. 키즉키즉맘입니다. 저번 글에는 물이 끓어서 생기는 기포는 무엇인지에 대한 글을 작성해 보았습니다. 물에 관한 재밌는 글

kizikmom.tistory.com

 

김은 우리 눈에는 보이지만 만지지 못할 정도로 물 분자가 빠르게 움직이고 작습니다. 그리고 멀리서 보면 구름과 비슷하죠. 다시 증발을 통해 수증기가 되고요. 이렇게 물 분자는 어떤 상황에 놓여있는지에 따라 여기저기 움직이고 공기 속으로 들어갔다가 나오고를 반복하며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렇듯 구름은 안개와 비슷하고 또 김과 비슷하죠.

 


 

그럼 다시 구름은 어떻게 생기는지?로 돌아와서

따듯한 공기(수증기)가 위로 올라가면 주변의 기압이 낮아지고, 부피가 커집니다. 그러면서 더 가벼워지죠. 이때 사용된 열에너지로 온도가 점점 내려가고 기온이 이슬점 아래로 내려가면 수증기는 응결하기 시작하고, 물방울이 되면서 구름이 형성됩니다.

 

이해가 아직 안 되는 분들도 많이 계실 거예요.

왜 위로 올라가면서 기압이 낮아지고, 부피는 커지고, 가벼워지고, 열에너지는 어떻게 썼고... 등 모든 것을 다 쓰기에는 너무 글이 길어질 것 같아 아주 쉬운 예를 설명하고 다음에 더 자세한 글을 작성해 보겠습니다.

 

일단 아주 간단하게. 정말 쉬운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누군가 우리를 누르고 있다고 가정하면, 우리는 웅크리게 됩니다. 그리고 누르는 힘이 약해지면 우리는 몸을 활짝 피게 되죠. 여기서 우리는 몸을 활짝 피면서 에너지를 소비합니다. 누르는 힘을 밀거든요.

(누르는 힘 - 기압, 몸- 부피) 이해가 되었을까요?

 


 

Q. 그럼 구름은 어떻게 떠 있을까요?

구름은 물방울과 얼음결정이라고 했는데, 왜 떨어지지 않고 하늘에서 몰려다니며 어떻게 떠 있을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구름은 아주 작은 물방울과 얼음 결정들로 상상하는 그 이상으로 가볍습니다.

우리 학생들이 팔을 넓게 벌려 키만큼 구름을 잡아도 0.5g이 안 될 거예요. 그만큼 가볍습니다. 구름도 중력의 영향을 받아 아래로 떨어지는데요. 공기의 저항(마찰)을 받으면서 떨어지는 속도는 느려지고 상승기류와 바람에 의해 위, 아래 옆으로 움직이고 구름을 받치는 역할을 해 주면서 떨어지지 않는 겁니다.

 


 

오늘은 구름에 대한 글을 작성해 보았습니다. 사실 더 쓰고자 하는 정보는 많은데요. 다 쓰지 못하는 것에 아쉬움이 남습니다. 구름의 종류에 따라 어떤 날씨인지도 알 수 있으며 다른 요인으로도 생기기도 합니다.

 

예를 들면 산을 타고 바람이 불면서 공기가 상승하거나 더운 공기가 찬 공기 쪽으로 이동하면서 찬 공기 위로 상승하는 경우 등 구름이 생성되는 경우는 많이 있습니다. 오늘 작성한 구름은 우리 학생들도 공부하면서 알 수 있게끔 작성하고자 적어봤습니다.

 

다음에는 더 좋은 글로 인사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입니다.

 

 

물과 얼음(얼음 컵 주변 물방울, 안경과 차량 김 서림 원인)

물과 얼음(얼음 컵 주변 물방울, 안경과 차량 김 서림 원인) 안녕하세요. 키즉키즉맘입니다. 저번 글에는 물과 수증기 그리고 기포에 대해서 작성을 해 봤습니다. 그런데, 물 하면 빠질 수 없는

kizikmom.tistory.com

 

아이 기저귀 떼는 시기와 훈련, 부모의 자세(대처)

아이 기저귀 떼는 시기와 훈련, 부모의 자세(대처) 안녕하세요. 키즉키즉맘입니다. 최근 우리 아이들의 배변에 관한 글들을 많이 썼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배변과 관련된 기저귀 떼기의 내용을

kizikmom.tistory.com

 

반응형